인터넷이 동작하는 아주 구체적인 원리

학교에서 구글에 접속하는 과정

Getting Started: WLAN, DHCP, UDP and IP

먼저 노트북을 켜고 AP를 검색한다. 클라이언트가 iptime01을 선택하면 접속 요청을 하고 응답이 오면 Wi-Fi 연결이 된다.

처음으로 학교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이기 때문에 이 클라이언트에게는 아직 IP 주소가 없다. 이제 IP 주소를 할당하기 위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가 동작한다. IP 할당을 서비스하는 DHCP 서버는 AP나 라우터에서 동작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의 운영체제가 클라이언트의 68번 포트에서 출발해 수신지의 67번 포트로 도착하는 DHCPD DISCOVER 메시지를 만든다. 이는 UDP로 전송된다. 아직 클라이언트는 IP 주소를 할당 받지 못한 상태이며, DHCP 메시지의 src, yiaddr 필드는 0.0.0.0 이다. 또한 AP에 연결된 모든 노드에게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할 것이므로 dest 필드는 255.255.255.255 이다.

이때 식별은 MAC 주소를 이용해서 한다.

AP에서 동작하는 DHCP 서버가 KT 주소 블록에서 IP를 만들고 AP가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